Quantum Mechanics Physical Theory 들을 이용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Framework 입니다 Mechanics 자체가 물리적인 이론은 아닙니다. 이 Mechanics는 물리이론이 만족해야하는 4가지 수학적 가설 을 포함합니다
Postulates (가설 ) Statics or State space - 통계 및 상태 공간 : Closed System의 state를 설명모든 물리적 System은 inner product space 로 이루어진 Hilbert space 안에서 이루어집니다.
⇒ 이를 통해 Qubit 의 state를 정의하는 finite 한 vector space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이와 관련된 Bloch Sphere 를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.
2. Dynamics - 역학 : Closed system의 evolution을 설명
닫힌 계는 슈뢰딩거 방정식에 의해 설명 됩니다.
i ℏ d ∣ ψ > d t = H ∣ ψ > i
{\displaystyle \hbar }{d|\psi> \over dt}=H|\psi> i ℏ d t d ∣ ψ > = H ∣ ψ >
이 파동 방정식은 2가지 의미 를 지니고 있습니다.
하나는 시간에 따른 evolution을 의미합니다.
다른 하나는 Probability와 Amplitude 쪽에서 Quantum Interference 입니다.
그리고 이런 시간에 따른 evolution 은 unitary operator U 에 의해 설명됩니다.
U ( t 1 , t 2 ) = e x p [ − i H ( t 2 − t 1 ) ℏ ] U(t_1,t_2)= exp[{-iH(t_2-t_1) \over {\displaystyle \hbar }}] U ( t 1 , t 2 ) = e x p [ ℏ − i H ( t 2 − t 1 ) ]
왜 U 냐면요, U 만이 공간에서 정의된 linear operation(연산) 에서 유일하게 Norm 을 보존시킵
니다.
이러한 Unitary Operator 들의 몇가지 예제인 Pauli Gate 를 소개시켜드리겠습니다 .
3. Measurement - 측정 : System(계)와 External(외부) 와의 상호작용을 설명
Measurement Operator P m P_m P m 에 의해 측정됩니다.
측정 되기 전의 state가 ∣ ψ > |\psi> ∣ ψ > 이었을 때, 측정 확률 p ( m ) p(m) p ( m ) 은 다음과 같습니다
p ( m ) = < ψ ∣ P m † P m ∣ ψ > p(m)=<\psi|P_m^†P_m|\psi> p ( m ) = < ψ ∣ P m † P m ∣ ψ >
그리고 측정 후의 state 는 다음과 같습니다
P m ∣ ψ > < ψ ∣ P m † P m ∣ ψ > {P_m|\psi> \over \sqrt{<\psi|P_m^†P_m|\psi>}} < ψ ∣ P m † P m ∣ ψ > P m ∣ ψ >
측정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습니다
Σ m p ( m ) = Σ m < ψ ∣ P m † P m ∣ ψ > = < ψ ∣ I ∣ ψ > = 1 \Sigma_{m} p(m)=
\Sigma_{m}<\psi|P_m^†P_m|\psi>
=<\psi|I|\psi>
=1 Σ m p ( m ) = Σ m < ψ ∣ P m † P m ∣ ψ > = < ψ ∣ I ∣ ψ > = 1
Measurement 라는 것은, 특정 orthonormal basis 에 projection 시킨 것입니다.
이렇게 측정 되는 과정을 붕괴(collapse) 한다고 표현합니다.
이로 인해 생기는 단점 이 있습니다. ( Global Phase Problem )
바로 ∣ 0 > + ∣ 1 > |0>+|1> ∣ 0 > + ∣ 1 > 과 ∣ 0 > − ∣ 1 > |0> - |1> ∣ 0 > − ∣ 1 > 의 확률이 같아서 구별할 수 없는 것 인데요.
이 특징은, projection 시킬 orthonormal basis를 different 하게 가져가면, 확률도 달라져서
구별 가능하게 해결 할 수 있습니다.
[예제]
Single Qubit 에 대해서,
Measurement Operator
P 0 = ∣ 0 > < 0 ∣ , P 1 = ∣ 1 > < 1 ∣ P_0=|0><0| , \quad P_1=|1><1| P 0 = ∣ 0 > < 0 ∣ , P 1 = ∣ 1 > < 1 ∣ 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만약 qubit 이 α ∣ 0 > + β ∣ 1 > \alpha |0> + \beta |1> α ∣ 0 > + β ∣ 1 > 와 같은 상태일때, 각각을 측정하는 확률은 아래와 같습니다.
p ( 0 ) = < ψ ∣ P 0 † P 0 ∣ ψ > = ∣ α 2 ∣ , p ( 1 ) = < ψ ∣ P 1 † P 1 ∣ ψ > = ∣ β 2 ∣ p(0)=\, <\psi | P_0^†P_0|\psi> \,= \,|\alpha^2| , \qquad p(1)\,= \,<\psi | P_1^†P_1|\psi> \,=\, |\beta^2| p ( 0 ) = < ψ ∣ P 0 † P 0 ∣ ψ > = ∣ α 2 ∣ , p ( 1 ) = < ψ ∣ P 1 † P 1 ∣ ψ > = ∣ β 2 ∣
Projection : ∣ u > < u ∣ |u><u| ∣ u > < u ∣ 는 |u> 에 생성된 1차원 공간에 사영 시킨 것
⇒ 때로, 이것을 Density operator ρ \rho ρ 라고도 부릅니다.
4. Component - 부품 : 부품의 관점에서 복합 시스템의 state를 설명
무슨말이냐면, 개별 Vector ∣ ψ > |\psi> ∣ ψ > 를 Tensor Product 하여 모두 표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다시말하면, 조합된(Entangled) state 를 Tensor 곱으로 Separate 시킬 수 있습니다.
Bloch Sphere 우리는 고전 역학에서 통계와 확률
의 개념이 없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갑니다. 이에 따라서 결정론적 → 확률적 bit → 확률적 quantum(vector) 의 개념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 개념은 측정(Measurement) 할 때, 붕괴(collapse) 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Global Phase 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 Qubit Qubit은 2-state system 입니다. "0"과 "1". 수학적으로 이것을 Vector 로 표현합니다.
다시 표현하면 ∣ ψ ⟩ = α ∣ 0 ⟩ + β ∣ 1 ⟩ |\psi\rangle = \alpha \: |0\rangle + \beta \: |1\rangle ∣ ψ ⟩ = α ∣ 0 ⟩ + β ∣ 1 ⟩ 과 같습니다.Polar coordinate |ψ ⟩ \psi \rangle ψ ⟩ 가 Normalized 됐다고 할 때, (⟨ ψ ∣ ψ ⟩ = 1 \langle \psi|\psi\rangle = 1 ⟨ ψ ∣ ψ ⟩ = 1 ) ∣ α ∣ 2 + ∣ β ∣ 2 = 1 | \alpha |^2 + | \beta |^2 = 1 ∣ α ∣ 2 + ∣ β ∣ 2 = 1 . 과 같습니다이제 우리는 Amplitude 와 Phase 를 분리해서 α \alpha α 와 β \beta β 를 표현 할 수 있습니다. α = r α e i ϕ α \alpha = r_{\alpha} \: e^{i \phi_{\alpha}} α = r α e i ϕ α β = r β e i ϕ β \beta = r_{\beta} \: e^{i \phi_{\beta}} β = r β e i ϕ β 그리고 이것을 우리가 아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는 표현을 합니다 ∣ ψ ⟩ = A ∣ 0 ⟩ + e i ϕ ∣ 1 ⟩ |\psi\rangle = \Alpha \: |0\rangle + \: e^{i \phi}|1\rangle ∣ ψ ⟩ = A ∣ 0 ⟩ + e i ϕ ∣ 1 ⟩
이 때 다음을 이용하여 새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 α 2 + β 2 = 1 \sqrt{\alpha^2+\beta^2}=1 α 2 + β 2 = 1 s i n 2 x + c o s 2 x = 1 \sqrt{sin^2x+cos^2x}=1 s i n 2 x + c o s 2 x = 1 α = c o s θ 2 \alpha = cos{\theta \over 2} α = c o s 2 θ β = s i n θ 2 \beta = sin{\theta \over 2} β = s i n 2 θ
∣ ψ ⟩ = c o s θ 2 ∣ 0 ⟩ + s i n θ 2 e i ϕ ∣ 1 ⟩ |\psi\rangle = cos{\theta \over 2} \: |0\rangle + sin{\theta \over 2}\: e^{i \phi}|1\rangle ∣ ψ ⟩ = c o s 2 θ ∣ 0 ⟩ + s i n 2 θ e i ϕ ∣ 1 ⟩
x = r s i n θ c o s ϕ , x = r \: sin \theta \: cos \phi, x = r s i n θ c o s ϕ , y = r s i n θ s i n ϕ , y = r \: sin \theta \: sin \phi, y = r s i n θ s i n ϕ , z = r c o s θ , z = r \: cos \theta, z = r c o s θ , 앞서 배웠던 Unitary Operator 를 이용하면 Bloch Sphere 상 에서 회전 하게 됩니다.
Mixed States and the Bloch Sphere
⇒ Pure state 면 |r|=1 이고,
Mixed 이면 |r|<1 입니다.
Gate, Operators, Matrices —→ Pauli Gates 이러한 선형 연산자들을, Matrix 로 표현할 수도 있고요, Gate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. Pauli Gates 는 Unitray Operator 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 다시 한번 확인해 볼까요Unitary : A A † = A † A = I AA^† = A^†A= I A A † = A † A = I ( When, A † = ( A ∗ ) T A^† = (A^*)^T A † = ( A ∗ ) T )
→ Pauli Gates들은 위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X (Classic NOT)
σ 1 = σ x = X = [ 0 1 1 0 ] \sigma_1 =\sigma_x =\\
X=
\begin{bmatrix}
0 \, 1 \\
1 \, 0
\end{bmatrix} σ 1 = σ x = X = [ 0 1 1 0 ]
Y
σ 2 = σ y = Y = [ 0 − i i 0 ] \sigma_2 =\sigma_y =\\
Y=
\begin{bmatrix}
0 \, -i \\
i \quad 0
\end{bmatrix} σ 2 = σ y = Y = [ 0 − i i 0 ]
Z (180도 회전)
σ 3 = σ z = Z = [ 1 0 0 − 1 ] \sigma_3 =\sigma_z =\\
Z=
\begin{bmatrix}
1 \quad 0 \\
0 \, -1
\end{bmatrix} σ 3 = σ z = Z = [ 1 0 0 − 1 ]
I
σ 0 = I = [ 1 0 0 1 ] \sigma_0 = \\
I=
\begin{bmatrix}
1 \, 0 \\
0 \, 1
\end{bmatrix} σ 0 = I = [ 1 0 0 1 ]
Gate, Operators, Matrices —→ Hadamard Gates 앞에서 배운 Hadamard Basis를 잠시 보겠습니다 이 Gate의 사용은, basis 변환에 사용됩니다. basis 변환을 하는 이유는, Measurement 했을 때, 확률이 같아서 구분 못하는 경우 - Postualte 3 에 해당 됩니다. Hadamard Gate ∣ + 〉 = 1 2 ( ∣ 0 〉 + ∣ 1 〉 ) |+〉 = {1 \over \sqrt2} ( |0〉 + |1〉) ∣ + 〉 = 2 1 ( ∣ 0 〉 + ∣ 1 〉 ) ∣ − 〉 = 1 2 ( ∣ 0 〉 − ∣ 1 〉 ) |-〉 = {1 \over \sqrt2} ( |0〉 - |1〉) ∣ − 〉 = 2 1 ( ∣ 0 〉 − ∣ 1 〉 ) H = 1 2 [ 1 1 1 − 1 ] H={1 \over \sqrt{2}}
\begin{bmatrix}
1 \quad \; 1 \\
1 \, -1
\end{bmatrix} H = 2 1 [ 1 1 1 − 1 ]
Hadamard Gate 의 특징은, Qubit을 0과 1의 상태를 동시 에 가질 수 있도록 중첩 을 시켜 줍니다이 Gate 또한 Unitary : A A † = A † A = I AA^† = A^†A= I A A † = A † A = I 의 특성을 만족하기 때문에 Gate를 2번 통과시키면 원상태 로 돌아옵니다. Stern-Gerlach experiment - Jay
슈테른-게를라흐 실험 Qubit은 quantum computation(양자 전산)과 quantum information(양자정보)에서 가장 기본적인 element를 이룬다. Stern-Gerlach 실험은 이 qubit의 특징을 처음으로 관측한 실험이다. qubit의 특징이란 입자의 spin이 양자화(quantize)되어있다는 것이다. ***Spin : 입자의 고유한 성질로 "각운동량"(angular momentum)을 나타낸다. 각운동량은 거시적으로 물체가 회전할 때 측정가능한 물리량으로써 회전축과 물체 사이의 거리와 물체의 운동량을 곱한 값(벡터량)이다. 하지만...
https://leejaekyung.com/?p=814
Density Operator & Mixed State Pure State : ∣ 0 ⟩ , ∣ 1 ⟩ |0\rangle, |1\rangle ∣ 0 ⟩ , ∣ 1 ⟩ 같이 1개만 있는것In pure States : ρ = ∣ ψ ⟩ ⟨ ψ ∣ \rho = |\psi\rangle\langle\psi| ρ = ∣ ψ ⟩ ⟨ ψ ∣
T r ( ρ 2 ) = 1 Tr(\rho^2) =1 T r ( ρ 2 ) = 1 Mixed State : ∣ 01 ⟩ |01\rangle ∣ 0 1 ⟩ 같은 것In mixed states : ρ = Σ p i ∣ ψ i ⟩ ⟨ ψ i ∣ \rho = \Sigma p_i|\psi_i\rangle\langle\psi_i| ρ = Σ p i ∣ ψ i ⟩ ⟨ ψ i ∣
T r ( ρ 2 ) < 1 Tr(\rho^2) <1 T r ( ρ 2 ) < 1 Tr() 을 이용하여 Pure state와 Mixed State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.
Partial Trace ( Reduced Density Operator) Composite system의 sub system에서 기술할 때 쓰입니다. ρ A = t r B ( ρ A B ) \rho^A =tr^B (\rho_{AB}) ρ A = t r B ( ρ A B ) 라고 하고, A system과 B system의 vector 가 각각 a i , b i a_i , b_i a i , b i 라고 할 때t r B ( ρ A B ) = t r B ( ∣ a 1 ⟩ ⟨ a 2 ∣ ⊗ ∣ b 1 ⟩ ⟨ b 2 ∣ ) = ∣ a 1 ⟩ ⟨ a 2 ∣ t r ( ∣ b 1 ⟩ ⟨ b 2 ∣ ) = ∣ a 1 ⟩ ⟨ a 2 ∣ ⟨ b 2 ∣ b 1 ⟩ tr^B(\rho_{AB})= tr^B(|a_1\rangle\langle a_2|⊗|b_1\rangle\langle b_2|) = |a_1\rangle\langle a_2| \quad tr(|b_1\rangle\langle b_2|) = |a_1\rangle\langle a_2| \quad \langle b_2|b_1\rangle t r B ( ρ A B ) = t r B ( ∣ a 1 ⟩ ⟨ a 2 ∣ ⊗ ∣ b 1 ⟩ ⟨ b 2 ∣ ) = ∣ a 1 ⟩ ⟨ a 2 ∣ t r ( ∣ b 1 ⟩ ⟨ b 2 ∣ ) = ∣ a 1 ⟩ ⟨ a 2 ∣ ⟨ b 2 ∣ b 1 ⟩
라고 표현 할 수 있습니다.이 결과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ρ A \rho_A ρ A is pure state → ρ A B \rho_{AB} ρ A B is seperable ( not entagled)
ρ A \rho_A ρ A is mixed state → ρ A B \rho_{AB} ρ A B is entangled
Uploaded by Notion2Tistory v1.0.0